본문 바로가기
숨 쉴 곳/세상 읽는 숨

미국의 ‘상호관세’, 무슨 소리지? 쉽게 풀어봤어요

by 휘연월 2025. 4. 4.
반응형

 

📌 미국의 상호관세? 무슨 뜻이고, 왜 시끄러운 걸까?

요즘 뉴스를 보다 보면 ‘상호관세’라는 말이 종종 보이더라고요.

저는 경제에 대해 잘 몰라서 처음엔 도통 무슨 말인지 이해할 수 없었는데,

하나하나 찾아보다 보니 꽤 중요한 이슈더라고요.

저처럼 처음 접하는 분들도 쉽게 이해하실 수 있도록!

쉬운 말로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 봤어요.


✅ 상호관세란?

한 마디로 말하면,

"네가 우리 물건에 세금(관세) 매기는 만큼, 우리도 너희 물건에 비슷한 방식으로 세금을 매길게. "

라는 뜻이에요.

 

예를 들어 한국이 미국 제품에 10% 관세를 매기면,

미국도 한국 제품에 비슷한 수준의 관세를 매기겠다는 식이죠.

 

겉으로 보면 ‘공정한 거래’ 같아 보이기도 하지만,

이게 실제로 적용되면, 생각보다 더 복잡한 문제들이 생겨요.

왜냐하면 단순히 똑같은 비율로 매기는 게 아니라,

미국이 상대국의 관세율뿐만 아니라 규제(비관세 장벽)까지 따져서 대응하기 때문이에요.

 

✅ 왜 미국이 이걸 꺼내들었을까?

 

이 얘기를 꺼낸 사람은 도널드 트럼프예요.

최근에 대선 준비를 하면서 "내가 다시 대통령이 되면 상호관세 도입하겠다!"고 했는데,

정말 대통령으로 당선되었죠..

 

이유는 단순해요.

“우리는 너희 제품을 많이 사주는데, 너희는 우리 제품을 많이 사지 않는 데다가 관세까지 높게 매기잖아.
그럼 우리도 가만히 안 있을 거야.”

 

즉, 우리는 손해 보고 있다, 그래서 공정하게 맞춰야 한다는 주장인 거예요.


✅ 그런데… 진짜 우리가 미국 물건에 관세를 더 많이 매기고 있었던 걸까?

사실은 꼭 그렇다고 보긴 어려워요.

 

한국은 과거에는 외국 제품에 관세를 더 많이 매기고 있었어요.

왜냐하면, 예전엔 한국이 경제적으로 약한 나라였기 때문이에요.

 

과거에는 “잘 사는 나라가 좀 더 양보해 주는 게 맞다”는 분위기가 있었어요.

그래서 미국은 외국 물건에 관세를 적게 매기고,

한국은 국내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외국 제품에 높은 관세를 매겼죠.

 

이런 식의 "보호무역"은 경제를 키우는 데 중요한 전략이었어요.

 

하지만 지금은 상황이 많이 달라졌어요.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덕분에, 한국이 미국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는 대부분 없거나 아주 낮아요.

2024년 기준으로 미국산 제품의 평균 관세율은 0.79%밖에 안 된다고 해요.

그런데도 트럼프는 한국이 여전히 미국 제품에 높은 관세를 매기고 있다고 주장했어요.

 

왜 그랬을까요?

아마도 과거 한국이 보호무역 정책을 펼쳤던 사례나,

농산물처럼 일부 품목에서 여전히 높은 관세를 유지하고 있는 점을 강조하려고 했던 것 같아요.

 

결론적으로,

한국이 과거에는 미국보다 관세를 더 많이 매겼던 시절이 있었지만,

지금은 한미 FTA 덕분에 대부분의 미국산 제품에는 거의 세금을 매기지 않고 있어요.

트럼프의 주장은 이런 맥락을 무시하고 과장된 부분이 있는 거죠.


✅ 한국이 미국 물건에 50% 세금을 매긴다고?

트럼프 전 대통령은 과거에 이런 말을 한 적이 있어요.

“한국 같은 나라는 우리 물건에 50%나 되는 세금을 매기고 있다!”

 

 

하지만 이건 사실과 다르다는 게 대부분의 전문가들 의견이고, 한국 정부도 반박했어요.

위에서도 적었듯이, 실제로 미국산 제품에 부과되는 평균 관세율은 0.79%밖에 안 된다고 해요.

 

> 그럼 트럼프가 왜 이런 말을 했을까요?

트럼프가 이런 주장을 한 이유는 실제 관세율뿐만 아니라, 비관세 장벽(예: 규제, 표준, 환율 정책 등)까지 포함해서 과장된 계산을 했기 때문이에요.

예를 들어, 한국은 미국산 쌀에 대해 최대 513%의 관세를 부과하지만, 이는 특정 물량 이상일 때만 적용돼요.

또, 자동차 시장에서 미국산 차량이 한국 기준을 충족해야 하는 규제도 "간접적인 관세"로 간주했어요.

 

결국 트럼프는 이런 요소들을 모두 더해서 "50%"라는 숫자를 만들어낸 거죠.

이 발언은 한국과의 무역 협상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려는 전략적 발언으로 보여요.


✅ 근데 왜 지금 와서 문제 삼는 걸까?

미국 입장에선 이제 이렇게 말해요.

"너희도 이제 선진국이잖아. 그런데 왜 아직도 우리 물건에 높은 세금 붙이는 거야?"

 

트럼프는 이런 논리로 상대국이 관세를 낮추도록 압박하고 싶어 해요.

겉으로는 "우리가 손해 보고 있으니까 똑같이 하자"처럼 보이지만,

그 안에는 협상을 위한 계산도 숨어 있죠.

 

+ 참고로, 상호관세 얘기를 하다 보면

“그럼 지금도 개발도상국인 나라는 어떻게 되는 거지?”

라는 궁금증이 생길 수 있어요.

 

지금도 개발도상국으로 분류되는 나라들은 여전히 미국이나 다른 선진국들로부터 관세 혜택을 받는 경우가 많고,

상호관세 같은 압박 대상에서 제외되는 경우도 많아요.

 

하지만 한국은 이제 경제 규모나 산업 수준이 선진국에 가까워졌기 때문에,

미국 입장에선 “너희는 더 이상 봐줄 이유 없다”라고 판단하고 있는 거예요.


✅ 그런데, 그렇게 하면 미국도 손해 아냐?

맞아요! 그 생각이 정말 중요해요.

우리가 “그럼 미국 제품 안 사면 되지” 하면,

미국도 당연히 수출이 줄어들 테니까 손해예요.

 

그런데 트럼프는 이렇게 생각해요.

"우리는 너희 물건을 훨씬 더 많이 사주고 있어.
손해 보는 건 우리야. 우리가 화 낼 만 하지 않아?"

 

그래서 미국 입장에선

“우리가 수입을 줄이는 게 오히려 유리하다”고 보는 거예요.

상대방이 겁먹고 먼저 양보하길 바라는 거죠.

 

그런데 이런 상호관세 정책이 미국 안에서도 마냥 환영받는 건 아니에요.

오히려 반대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아요.

미국 기업들, 특히 자동차나 농산물 같은 수출 기업들은

“그럼 우리 제품도 외국에 안 팔리게 되는 거 아냐?” 하고 걱정하고 있어요.

 

소비자들 입장에서도 수입 제품에 관세가 붙으면 가격이 오르니까, 물가 부담이 생길 수 있고요.

그래서 미국 내부에서도 “결국엔 우리도 손해다”라는 비판이 계속 나오고 있는 상황이에요.

 

 

게다가 이런 트럼프식 자국우선주의가 각 나라의 무역 보복을 불러오면,

세계 전체의 무역 흐름이 불안정해지고, 경기 침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어요.


✅ 결국, 상호관세는 트럼프식 밀당

트럼프는 원래 사업가 출신이라,

국가 간의 외교도 “거래”처럼 생각하는 경향이 있어요.

 

“우리가 이렇게 하면 상대가 물러설 거야.”

“세게 나가야 원하는 걸 얻을 수 있어.”

 

이런 스타일로 협상해 왔고, 실제로 그런 전략으로

몇몇 나라와 무역 협정을 바꾼 전례도 있어요.

 

✅ 그렇다면 우리는?

한국처럼 수출로 먹고사는 나라는

미국과의 갈등이 커지면 타격이 커요.

그래서 이런 이슈는 단순히 “미국이 화났다”는 걸 넘어서

우리 경제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흐름이에요.


상호관세는 ‘서로 공정하게 하자’는 말처럼 들리지만,

실제로는 상대국 압박용 무역 전략이에요.

 

미국도 손해를 감수해야 할 수 있지만, 그걸 통해 더 큰 이득을 얻으려는 계산이 깔려 있어요.

이 중심엔 트럼프 특유의 협상 스타일과 자국 우선주의가 있어요.

 

뉴스 속 경제 얘기가 어렵게만 느껴질 때가 많은데,

이렇게 어려운 단어 없이 흐름을 알고 보면 한결 이해하기 쉬워지는 것 같아요.

조금은 낯설었던 경제 뉴스가 오늘은 덜 어렵게 느껴지셨다면 좋겠어요 :)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AI들이 예측한 결과와 그 이유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AI들이 예측한 결과와 그 이유는?

요즘 가장 뜨거운 이슈 중 하나는 바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 탄핵심판이에요.이제 오늘이네요. 4월 4일 11시 선고를 앞두고 많은 이들이 그 결과를 주목하고 있는데요,결과가 어떻게

slowforest.tistory.com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D-1, 결과에 따른 시나리오 분석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D-1, 결과에 따른 시나리오 분석

대통령 탄핵심판, 이제 헌재의 결정만 남았어요국회가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가결한 이후로 많은 논란과 해석이 이어졌어요.그리고 이제, 그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판단이 바로 내

slowforest.tistory.com

 

‘지브리 스타일’ AI 이미지, 저작권은 괜찮을까?

 

‘지브리 스타일’ AI 이미지, 저작권은 괜찮을까?

🖼️ 챗GPT로 만든 지브리 그림, 저작권은 괜찮을까? 요즘 챗GPT에 사진을 올리고, 지브리 스타일로 변환된 이미지를 SNS에 공유하는 유행이 퍼지고 있어요. 저도 재미 삼아해 봤는데, 생각보다

slowforest.tistory.com

 

새로운 챗지피티? 'Monday' 넌 누구냐, 사용후기

 

새로운 챗지피티? 'Monday' 넌 누구냐, 사용후기

❓'Monday'? 이게 뭐지?  저는 챗지피티 플러스를 이용 중인데요,왼쪽 사이드탭에 언제 생겼는지 모를 'Monday'가 생겼더라고요?너무 궁금해서 바로 눌러보았어요.  첫 페이지는 기본 챗지피티와

slowforest.tistory.com

 

잠깐만 보려고 했는데, 또 한 시간째 - 쇼츠 중독에서 탈출해보자

 

잠깐만 보려고 했는데, 또 한 시간째 - 쇼츠 중독에서 탈출해보자

디지털 중독과 집중력 저하에 대하여 “하나만 보고 자야지…”그렇게 시작한 쇼츠 영상이 어느새 1시간을 훌쩍,손이 멈추지 않아요. 마음도요. 요즘 들어 자꾸만 집중이 잘 안 되고,

slowforest.tistory.com

 

머리아플 때, 부위 별 두통의 원인과 증상부터 해결 방법까지

 

머리아플 때, 부위 별 두통의 원인과 증상부터 해결 방법까지

요즘 들어 머리가 자주 지끈거리는 것 같지 않으신가요?직장, 집, 뉴스 등등 여러 곳에서 받는 스트레스와 하루하루를 살아내며 쌓이는 피로,잠깐의 여가를 위한 스마트폰으로 인한 뭉친 근육까

slowforest.tistory.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