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숨 쉴 곳/세상 읽는 숨

‘지브리 스타일’ AI 이미지, 저작권은 괜찮을까?

by 휘연월 2025. 4. 3.
반응형

🖼️ 챗GPT로 만든 지브리 그림, 저작권은 괜찮을까?

‘지브리 스타일’ AI 이미지, 저작권은? 썸네일 이미지

 

요즘 챗GPT에 사진을 올리고, 지브리 스타일로 변환된 이미지를 SNS에 공유하는 유행이 퍼지고 있어요.

저도 재미 삼아해 봤는데, 생각보다 그럴듯하게 나와서 놀랐어요.

몽글몽글한 색감과 감성적인 캐릭터 표현이 진짜 지브리의 감성과 꽤나 비슷해서,

확실히 사람들의 눈길을 끌 만 하더라고요.

하지만 한편으로는 ‘이거... 저작권 문제는 없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어요.


🎨 '스타일 모방'은 자유일까?

오픈AI는 

“지브리의 캐릭터나 장면을 복제한 게 아니라, 색감과 분위기, 감성적인 디자인 등의 스타일만 모방했을 뿐”

이라고 설명하고 있어요.

 

실제로 세계 각국 법원은 이런 ‘화풍’ 자체는 아이디어의 영역으로 보기 때문에, 법적인 저작권 보호를 받지 않는 경우도 많아요.

 

하지만 이 부분은 조금 애매한 것이..

지브리 캐릭터를 직접 베낀 건 아니지만,

그 느낌과 감성을 누구나 알아볼 수 있을 정도로 강하게 따라 했다면...

과연 괜찮다고 해도 되는 걸까요?


📚 AI는 어떻게 지브리 화풍을 학습했을까?

더 중요한 것은 AI가 어떻게 지브리의 그림체를 비슷하게 표현할 수 있게 되었는지예요.

AI가 그림을 생성하려면 수많은 이미지들을 학습해야 하는데,

그 과정에서 지브리의 이미지들이 무단으로 학습되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거든요.

 

실제로 뉴욕타임즈는 오픈 AI가 자신들의 기사를 무단 학습했다며 소송을 제기한 상태예요.

앞으로 지브리나 다른 창작자들이 이 문제를 두고 입장을 내거나, 소송을 걸 가능성도 충분히 있어 보여요.


🎬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생각

사실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은 과거부터 AI가 그리는 그림에 회의적인 입장을 밝혀왔어요.

2016년 한 다큐멘터리에서 AI가 만든 좀비처럼 움직이는 괴물 그림을 본 뒤,

“고통이 뭔지 모르는 사람이 만든 것 같다. 생명에 대한 모욕이다.”

라고 말했을 정도예요.

 

 

위 영상 57분 50초부터가 해당 내용이에요. (한글 자막은 없지만,, 영어 자막은 있어요.)

 

개발자들은 본인들이 일하는 방식을 선생님께 소개드리고 싶다며,

AI를 사용하여 자신들이 개발한 '머리를 다리로 사용하는 괴물'의 움직임을 보여주었어요.

미야자키 하야오는 그것을 보고, 자신이 아침마다 마주치는 장애를 가진 친구에 대한 이야기를 하며,

고통을 전혀 모르는 존재가 만든 것 같고, 매우 불쾌하다, 생명에 대한 모욕이다.
세상의 종말이 가까워진 것 같다, 인간들은 스스로에 대한 자신감을 잃었다.
나는 이것을 흥미롭게 볼 수 없다.

라고 이야기 했어요.

 

저는 사실 그 부분만 쇼츠 영상으로 보고,

징그럽게 생겼지만 공포 게임에서는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아서,,

생명에 대한 모욕, 세상의 종말까지 갈 문제인가..? 생각했었어요.

 

그런데 이 글을 준비하며 전체 영상을 보니,

그 후에 개발자들에게 "당신들의 궁극적인 목표는 무엇인가요?"라고 묻는데, 개발자들은 그 질문에 대해 "사람처럼 그림을 그리는 기계요." 하고 답해요.

 

AI를 큰 거부감 없이 사용하는 저도, 저 말을 들으면 참 착잡해질 것 같은데, 직접 손으로 그린 그림에 담기는 감정과 철학을 중요시 여기며 강조했던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입장에서는, 생명에 대한 모욕이고 세상의 종말이 가까워졌다..라고 느낄 수도 있었겠다 싶었어요.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이 이야기한 내용은,

단순히 그림체나 기술의 문제가 아니라 무엇을 담아내는가,

그리고 그 의도를 누구의 손으로 결정하는가에 대한 이야기였던 것 같아요.

 

그런 맥락에서 최근 AI 이미지가 단순한 놀이를 넘어서,

정치적인 목적이나 홍보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장면들을 보면, 그 우려가 더 실감 나기도 해요.

얼마 전, 이스라엘 군이 자국 군인의 모습을 지브리 화풍으로 미화한 이미지를 SNS에 게시했는데요.

지브리의 감독 미야자키 하야오가 대표적인 반전주의자라는 점을 생각하면,,,,😵‍💫

이스라엘 군이 SNS에 게시한 자국 군인의 모습을 지브리 화풍으로 미화한 이미지
출처 : 이스라엘방위군 엑스 (X)


🤔 재미와 존중 사이, 어디쯤에서 멈춰야 할까요?

기술은 점점 더 정교해지고, 이제는 거의 예술처럼 느껴지는 AI 이미지도 존재해요.

하지만 그것이 학습한 데이터 안에 누군가의 시간과 감정이 담겨 있었다면, 우리는 그 노력을 가볍게 넘기면 안 될지도 몰라요.

 

지브리 스타일 및 여러 애니메이션 스타일 이미지 생성은 분명 재미있고 신기하지만,

그 이면의 저작권과 창작자의 권리에 대해서도 한 번쯤 생각해 볼 수 있었으면 좋겠어요.

결국 중요한 건, 기술이 어디까지 가능하냐 보다 그걸 어떻게 써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인 것 같아요.

 


2025 무료 AI 이미지 생성 사이트 BEST 6|특징, 장단점 비교

 

2025 무료 AI 이미지 생성 사이트 BEST 6|특징, 장단점 비교

🤖 무료로 쓸 수 있는 AI 이미지 생성 사이트 모음AI 이미지 생성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디자인 지식이 없어도 누구나 다양한 이미지를 손쉽게 만들 수 있게 되었어요. 특히 무료로 AI 이미

slowforest.tistory.com

 

챗지피티에게 내 심리를 물어봤더니… 사주보다 놀라운 답변

 

챗지피티에게 내 심리를 물어봤더니… 사주보다 놀라운 답변

질문 하나로, 나도 몰랐던 나를 만나게 되는 순간 요즘 챗지피티를 정말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잖아요? 정보를 찾고, 글을 쓰고, 계획을 세우고, 그림도 그리고.그런데 저는 문득 

slowforest.tistory.com

 

새로운 챗지피티? 'Monday' 넌 누구냐, 사용후기

 

새로운 챗지피티? 'Monday' 넌 누구냐, 사용후기

❓'Monday'? 이게 뭐지?   저는 챗지피티 플러스를 이용 중인데요,왼쪽 사이드탭에 언제 생겼는지 모를 'Monday'가 생겼더라고요?너무 궁금해서 바로 눌러보았어요.  첫 페이지는 기본 챗지피티와

slowforest.tistory.com

 

잠깐만 보려고 했는데, 또 한 시간째 - 쇼츠 중독에서 탈출해보자

 

잠깐만 보려고 했는데, 또 한 시간째 - 쇼츠 중독에서 탈출해보자

디지털 중독과 집중력 저하에 대하여 “하나만 보고 자야지…”그렇게 시작한 쇼츠 영상이 어느새 1시간을 훌쩍,손이 멈추지 않아요. 마음도요. 요즘 들어 자꾸만 집중이 잘 안 되고,

slowforest.tistory.com

 

괜찮은 척, 무던한 척에 지쳐갈 때 나를 지키는 방법

 

괜찮은 척, 무던한 척에 지쳐갈 때 나를 지키는 방법

나만 혼자인 것 같은 기분이 들 때 사람들과 잘 어울리면서도,가끔은 ‘나만 좀 겉도는 것 같다’ 는 느낌이 들 때가 있어요.겉으로는 평범한 하루를 보내고 있지만,속으로는 어딘가 연결되지

slowforest.tistory.com

728x90
반응형